티스토리 뷰

"북핵 위협 수위 낮춰" "북한,미국의 비핵화 요구 범위 이해하고 있어" "중국은 중요한 플레이어" "너무 멀지 않은 미래에 미군 유해 송환될 것"

뉴시스


【서울=뉴시스】 이재준·오애리 기자 =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북한이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없는 비핵화(CVID)를 약속하지 않으면 협상장을 떠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북한이 미국의 비핵화 요구 범위를 이해할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전쟁 당시 전사한 미군 유해를 아직 전달받지는 못했지만, 곧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낙관한다고 기대했다.

AP통신,더힐,자유아시아방송(RFA) 등의 보도에 따르면,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27일(현지시간) 상원 예산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지난 12일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후 미국과 북한이 후속 협상을 진행하는 것과 관련해 위와같이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은 여전히 핵 위협으로 남아 있기는 하지만, 우리가 그 위협을 줄였다"고 말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북한으로부터의 핵 위협은 더 이상 없다(There is no longer a Nuclear Threat from North Korea)' 고 주장한 데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대통령의 말은 '우리가 (북핵)위협을 줄였다'는 뜻이라고 확신한다. 그 점에 대해선 어떤 의심도 없다. 우리는 긴장의 수위는 낮췄다(We took the tension level down)"라고 답했다.

영변 핵시설의 공사가 계속 진행 중이라는 38노스의 26일자 보도를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주장하는대로 북한의 핵위협이 사라졌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협상을 직접 지켜본 사람으로서 핵 위협이 줄어든(reduce) 것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재확인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 비핵화를 이루기 위해 특별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가'란 질문에 "현재 벌어지고 있는 (북한과의) 논의를 상세하게 밝힐 준비가 돼있지 않다"며 "(조건 공개는)우리가 달성하고자 희망하는 최종상태를 이루는데 부적절하고 비생산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들(북한인들)이 지금 이 청문회를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북 강경파로 정평난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은 "만약 북한이 이 청문회를 보고 있다면, 그러기를 희망하는데, '협상하시오(Take the deal)'라고 말하겠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청문회에서 대북 협상의 조건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그 동안 미국 측이 북한에 "다소 애매한(pretty unambiguous)"태도를 보였다는 점은 인정했다. 그러면서 "북한인들은 비핵화에 대해 우리가 요구하고 있는 범위를 이해하고 있다(North Koreans understand the scope of the request we're making with respect to denuclearization)"고 말했다.

'추가 협상을 누가 이끌어가느냐'는 질문에는 자신을 필두로 한 협상단이지만 한반도, 아시아 전문가 뿐 아니라 국방부 등 여러 부처의 전문가들이 모두 관련돼 있다고 답했다. 비핵화 이행 차원에서 북한 핵시설과 핵물질에 대한 규모, 종류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한 목록을 요청했느냐는 질문에는 "구체적인 것은 말할 수 없지만 판문점, 싱가포르 등에서 수많은 실무진 회담,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이 어떤 정보를 공개해야 하는지 양국이 이해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북한이 CVID를 약속하지 않으면 협상장을 떠나겠는가'란 스티브 데인스 상원의원의 질문엔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또 '">>.......>> 자세히보기



북미정상회담후 속개된 방위비협상 4차회의서도 양측 '평행선' "액수 등 핵심 쟁점 입장차 커"…美 "현단계 주한미군 감축계획없다" 재확인

연합뉴스

방위비 분담 두고 마주한 한ㆍ미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이상현 기자 = 한미방위비분담 협상에서 미국은 양국 연합군사훈련 중단에도 미군 전략무기의 한반도 전개비용의 분담을 요구했고, 우리측은 이를 거부해 팽팽히 맞선 것으로 전해졌다.

26∼27일 서울 국립외교원에서 열린 2019년 이후분 한미방위비분담금 협상 4차 회의에서 양국이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고 정부 당국자가 28일 밝혔다.

미국 측은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정세 긴장완화 분위기 속에서 한미 양국이 북미협상 진행 기간에 주요 연합훈련을 유예하기로 했지만 현 상황이 잠정적이어서 미군 전략자산 전개 필요성이 사라진 것은 아닌 만큼 그와 관련한 분담 요구를 철회할 수 없다는 논리를 편 것으로 파악됐다.

그에 대해 우리 측은 방위비 분담 협상은 주한미군의 주둔비용에 관한 것으로, 미군 전략자산 문제는 논의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한미 양측은 최근 북미정상회담 개최 등으로 한반도 상황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는데 대해 대체로 일치된 평가를 했지만, 미국 측은 '좀 더 두고보자'는 신중론도 피력했다고 정부 당국자가 소개했다.

이 당국자는 "(분담 액수 등을 둘러싼) 입장차가 아직도 크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직전 방위비 분담협상 때는 10차까지 회의를 했다"며 "그때와 비교하면 이제 중반 단계로 접어드는 것으로 보면 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양측이 주요 쟁점을 논의하는 한편 통합 문안에 대한 검토를 시작했다"며 "현재 양측은 상호 신뢰와 존중을 토대로 입장차이를 좁혀나가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과정이라고 생각된다"고 전했다.

회의에서 우리 측은 방위비분담금 외에 우리가 직간접으로 주한미군을 지원하는 부분에 관해 설명했다. 이에 대해 미국 측은 우리가 제기한 직간접 지원 항목과 평가에 대해 동의를 하지는 않았지만, 최소한 방위비 분담금 외에 한국의 기여분이 있다는 점은 인정했다고 당국자는 전했다.

또 양측이 액수 등 핵심 쟁점에서는 현격한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이행 과정에서 필요한 기술적 사안에서는 조금씩 논의에 진전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미국 측은 또 현 단계에서 주한미군 감축 계획이 없으며, 대(對) 한국 방위공약이 변함없이 굳건함을 재확인했다고 이 당국자는 전했다.

이번 회의에 우리 측은 장원삼 외교부 한미 방위비분담협상 대표가, 미국 측은 티모시 베츠 국무부 방위비분담협상 대표가 각각 수석대표로 나섰다.

양측은 7월 중 미국에서 제5 '">>.......>> 자세히보기







40대여성쇼핑몰,4050세대가 이용하는 쇼핑몰
네이버 밴드로 오세요
https://bit.ly/2q69oFl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4/06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